어리숙한 회사원의 일상

K-WISC-V) IQ가 몇이야?_[1] FSIQ와 GAI, CPI 활용하기 본문

하기 싫은 공부

K-WISC-V) IQ가 몇이야?_[1] FSIQ와 GAI, CPI 활용하기

김반지 2019. 10. 6. 23:24

드디어 WISC-V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포스팅은 실제 보고서를 쓸 때 해석하는 순서로 진행해볼까 하는데, 그 첫번째는 지능검사의 전체 구조와 척도, 그리고 꼭 같이 딸려오는 GAI, CPI가 되겠다.

 

 

1. 전체구조

 1)하위 지표

   -언어이해: 공통성 SImilarities, 어휘VoCabulary, (상식)(이해)

   -공간: 토막짜기Block Design, 퍼즐Visual Puzzles

   -동추론: 행렬추리Matrix Reasoning, 무게비교Figure Weights, (공통그림찾기)(산수)

   -업기억: 숫자Digit Span, 그림기억Picture Span, (순차연결)

   -리속도: 기호쓰기CoDing, 동형찾기Symbol Search, (선택)

 2)기존의 지각추론지표를 시공간/유동추론으로 나누어 놓으면서 하위 소검사가 3개에서 2개로, 그리고 여러 새로운 소검사들이 등장했는데, 이건 다음 시간에 하위 지표들을 다루면서 소개할 예정이다.

 

2. 전체척도(FSIQ): 언어이해,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아동의 전반적인 지적 능력에 대한 점수로, 전반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이후의 학업 성취까지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요인이다.

-다만 각 지표간 유의미한 차이(>23)가 있는 경우 FSIQ가 더 이상 아동의 전반적인 지능을 대표할 수는 없게 된다. 이럴때 사용하는 것이 추가지표 GAI와 CPI.

-일반능력(GAI): 논리적 사고 및 문제 해결 능력과 연관된 척도로, 언어이해/시공간/유동추론의 소검사를 모두 더해서 환산한 값이다. 보통 하위지표 간 유의미한 차이(>23)가 있어 FSIQ가 전체 지능을 설명할 수 없을 때, GAI를 전체IQ 대신 보게 된다.

-인지효율(CPI): 정보 처리 효율성과 연관된 척도로 작업기억/처리속도의 소검사를 모두 더해서 환산한 값이다. GAI와 비교하여 아동의 기본 인지 능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파악한다. 즉 작업기억, 처리속도가 아동의 일반적인 지적 기능을 제한/강화 하는지 추측할 수 있게된다.

-GAI>CPI이면 기본인지능력은 양호하지만 그걸 활용할 정보 처리 효율성은 떨어지기 때문에 아동은 현재 자신의 인지 능력의 활용에 제한이 있는 것이고, 반대로 GAI<CPI이면 정보 처리의 효율성은 양호하지만 기본 지적 능력, 그니까 그릇이 빈약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예를 들자면,

K-WISC-V 지표점수, 참고로 연습용 샘플이며 대상자는 지인(건장하고 착한 성인) 이었다

 위 표와 같은 점수를 보이는 아동이 있다. 이런 경우 우리는 아동의 지능 수준이 [평균]이라고만 볼 수 있을까? 지금 제일 점수가 높은 지표와 낮은 지표는 각각 작업기억=120, 유동추론=83으로 37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표 간 점수가 23점 이상이 차이나 지표 간 불균형이 시사되기 때문에 FSIQ가 아동의 전체 지능을 대표하여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이게 바로 평균의 오류). 

 이럴 경우 GAI를 사용하는데, 이 케이스에선 GAI=95로 FSIQ와 같은 [평균] 수준으로 현재 아동의 일반적인 인지능력은 양호하게 발휘되고 있는 편이다. 다만 CPI를 보았더니 CPI=108로 GAI와 CPI가 13점 정도 차이나고있다. 이 차이는 누적 백분률 17.3%의 비일반적으로 큰 차이이므로, 아동의 정보처리 효율성은 전반적인 인지능력에 비해 아동의 실력보다 충분히 더 높게 측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GAI=95; 95% 신뢰구간 89-101, CPI=108; 95% 신뢰구간 100-115). 그니까 실제 갖고 있는 인지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잘 활용하는, 잔머리도 좋은 친구라는 것.

 

ps1. 4판에서는 직접 소검사들을 더해서 점수를 구한 후 규준을 찾아서 변환시키고는 했는데, 5판에서는 검사 표에 '추가지표점수' 만 모아놓고 해당 지표들의 차이를 비교해주고 있다. 직접 찾아가며 계산하지 않아도 되니 편하다. 근데 추가 지표만 5개니까 볼게 늘어난건데.. 결국 검사자 손해 아닌가?!

 

ps2. 사실 GAI, CPI말고 추가지표 3개가 더 있긴 한데, 일단 내가 검사를 볼 때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되는게 이부분이라 먼저 다루게 되었다. 나중에 추가지표 공부하면서 다시 포스팅할 예정!

 

ps3. FSIQ같은 경우엔 7개의 소검사 중 한 가지 소검사에 대해서만 다른 소검사로 대체 할 수 있다. 아직까진 두개 이상다 못해서 검사 진행이 안된 경우는 겪어보진 못했다.

FSIQ의 대체소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