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처리속도지표
- 작업기억지표.
- 기본지표
- 공부
- FSIQ.
- 나는왜무기력을되풀이하는가
- K-WISC-V
- 웩슬러지능검사
- 임상소척도
- 시공간지표
- MMPI-A
- 지능검사
- 언어이해지표
- 카우프만 지능검사
- MMPI-2
- 오늘의 일기
- 둥둥이
- 유동추론지표
- 연수
- 오늘의일기
- 만다라일기
- 지능검사 연수
- 책리뷰
- 펄햄
- 귀여웡
- K-ABC-2
- KBIT2
- 심리검사
- 문수백 교수님
- 카우프만간편형지능검사
- Today
- Total
어리숙한 회사원의 일상
K-WISC-V) IQ가 몇이야?_ [2] 5가지 기본 지표 본문
약 3년.. 아니, 4년만에 쓰는 글이다.
혼자 공부한걸 정리하면서 써내려간 글에 계속해서 댓글이 달리는 걸 보고
빈약한, 어찌보면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정보지만 그마저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구나를 새삼 느꼈다.
입맛에 맞게 읽어보시되 언제나 있을 수 있는 오류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시길..!
보통 검사를 하게 되면 살피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FSIQ는 몇인가? FSIQ를 그대로 써도 되나? -기본지표척도 간 차이가 없다면 FSIQ를 전반적인 지적 능력으로 본다. -만약 기본지표척도 간 유의한 차이가 있다면, 추가지표(GAI, CPI 등)를 확인하여 일반적인 인지능력 수준을 추정해본다. => 여기까지가 지난 포스팅에서 다룬 것들. (참고: 2019.10.06 - [하기 싫은 공부] - K-WISC-V) IQ가 몇이야?_FSIQ와 GAI, CPI 활용하기) |
2. 5가지 기본지표척도 점수는 몇인가? 이때 기본지표에서는 아래의 것들을 본다. -기본지표의 점수가 의미하는 것 -지표 수준의 강약점 -지표 수준간 차이가 있다면 차이에 대한 해석 |
3.각 기본지표를 이루는 소검사는 몇점인가? -지표별 소검사에 대한 해석 -소검사 간 차이가 있다면 차이에 대한 해석 |
4.추가지표는 어떻게 나왔나? -추가지표점수에 대한 해석(GAI, CPI말고도 여러개 있다!) -추가지표 간 차이가 유의하다면 그에 대한 해석 |
5.처리점수도 분석해볼까? (이건 유의한 결과가 산출됬을 때만 하긴 한다) -특정 소검사에서 과제 수행 시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분석을 할 수 있게 점수를 내준다. -개인의 인지처리 방식에 대한 특징, 강약점 등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점수이다. |
6.아참, 검사 태도는 어땠더라...? -'모르겠다'는 반응은 몇개였는지, '무응답'은 얼마나 나왔는지 -검사자가 촉구를 많이 해야했는지 등 -검사 태도가 내담자의 내적 특징을 얼마나 반영하며, 결과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지를 고려해야한다. |
이중 우리는 1번을 지난 포스팅에서 살펴봤고,
오늘은 2번, 5가지 기본지표 점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1.기본지표란?
1) 기본지표
-쉽게 말해 '지능'이라는 개념을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FSIQ를 이루는 하위개념이라서 하위척도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2) 5가지 기본지표
-언어이해: 단어 지식, 정보 인출, 언어적 문제를 추론하고 해결하는 능력, 의사소통 등의 능력으로, 쉽게 말해 교육을 통해 습득한 언어적 지식과 이해의 수준을 나타낸다고 보면 된다.
-시공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자료, 시각 정보를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이다.
-유동추론: 귀납적 혹은 양적 추론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시각적 대상의 근본적인 개념적 관계를 파악,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도록 적용하는 능력이다. 즉, 비언어적인 문제해결능력(응용력이랑 비슷하려나?) 이라고 볼 수 있다.
-작업기억: 시청각 정보를 입력, 조작하는 능력으로 흔히 이야기하는 주의집중력과 연관성이 높다.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다른 지표에 비해 작업기억, 처리속도가 낮으면 ADHD 경향성을 의심하기도 한다.
-처리속도: 단순한 시각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주사하고 변별하는 능력이다. 정신 운동 속도 뿐만 아니라 글쓰기 등 실제 소근육 운동 속도 역시 처리속도에 포함된다.
2.기본지표의 해석
1) 기본지표 수준
-기본지표의 점수를 확인하고, 점수가 진단분류의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
-진단분류는 [매우 낮음]에서 [매우 우수]까지, 총 7단계가 있다. 이를 토대로 각 지표가 어느 수준인지를 기술해준다.
Ex. 길동님의 언어이해지표는 [평균] 수준으로, 언어적 문제를 추론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알맞게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기본지표 강약점
-기본지표 점수가 해당 연령에 비해 어느 수준인지 비교하고 인지적 강약점을 파악할 수 있다.
-연령대가 아닌 개인 내 점수를 비교할 수도 있다. 또래에 비해서는 높은 점수더라도, 개인 내적으로는 유독 안 나온 점수일 수도 있으니까.
Ex. 길동이의 언어이해지표는 [평균] 수준으로, 연령대에 알맞게 발달되어 있다. => 또래에 비해 약점은 아니다
하지만 언어이해를 제외한 나머지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가 모두 [우수]~[매우 우수] 수준이라면? 그렇다면 언어이해지표는 길동이 개인으로 봤을 땐 인지적 약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개인 내적으로는 약점이다
-이렇듯 기본지표의 수준을 개인간, 개인내적으로 비교하여 인지적 강약점을 서술해주어야 한다.
3) 기본지표 수준 차이 비교
-그 다음, 기본지표 간 점수 차이가 >23 으로 유의하게 나타난다면, 그 차이에 대해서도 해석을 해주어야 한다.
Ex. 예를들면, 언어이해지표가 시공간지표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경우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시지각/시공간적 추론능력에 비해 언어적 추론능력의 발휘가 저조하다.
-시각적 정보에 비해 언어적 정보를 처리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즉, 같은 추론능력이더라도 그 정보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인지처리 능력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단순히 언어로 설명하는 것 보다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적 정보(글, 그림, 영상 등)를 제공한다면 아이가 좀더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까지 하면 해석의 2단계까지 완성이다.
이것저것 단계가 많아 헷깔릴 순 있지만, 반대로 생각해본다면
모래가 모여서 조약돌이, 조약돌이 모여 바위가 되듯이
소검사가 모여서 기본지표가, 기본지표가 모여서 FSIQ(전체척도)가 된다고 생각하면 쉽다.
그래서 해석도 FSIQ -> 기본지표 -> 소검사 수준으로 쪼개서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전체 | 기본지표 | 소검사 | ||
FSIQ | ⇒ | 언어이해 | ⇒ | 공통성, 어휘, (상식), (이해) |
시공간 | 토막짜기, (퍼즐) | |||
유동추론 | 행렬추리, 무게비교, (공통그림찾기), (산수) | |||
작업기억 | 숫자, 그림기억, (순차연결) | |||
처리속도 | 기호쓰기, 동형찾기, (선택) |
다음 시간엔 소검사 수준에서는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를 살펴보겠다.
부디 4년보단 덜 걸리길 바라면서..!!!
'하기 싫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IT2) KBIT2.. 웨않해? (0) | 2022.11.03 |
---|---|
연수 후기) KABC 2 워크샵-문수백 교수님 (0) | 2021.08.20 |
책리뷰)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2 (0) | 2020.07.03 |
책리뷰)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 하는가-1 (0) | 2020.03.03 |
K-WISC-V) IQ가 몇이야?_[1] FSIQ와 GAI, CPI 활용하기 (8) | 201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