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리숙한 회사원의 일상

MMPI) 임상소척도 Hy 본문

하기 싫은 공부

MMPI) 임상소척도 Hy

김반지 2019. 6. 10. 23:41

※공부의 목적으로 이 게시물을 보는 분들은 정확하고 좋은 책으로 공부하시고 이건 참고로만 봐주세요.

 

 

척도 3, Hy(Hysteria)

흔히 얘기하는 '연극적인 성격특성'으로 미성숙, 자기중심적으로 부인, 회피 기제를 사용. 주로 1)신체적 증상 호소 2)정서적 장애에 대한 부인으로 나타남.

 

 

Hy1(사회적 불안의 부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안, 두려움이 낮다

-좋게 본다면 외향성이지만, 다르게 본다면 사회적 탈억제.

-즉, 연극성 성격장애의 '낯선이에 대한 부적절한 친밀감' 부분과 유사.

-하지만 문항이 6개 밖에 되지 않아서 해석에 유의해야한다고 한다.

 

Hy2(애정욕구)

-인정, 애정에 대한 욕구가 타인에 대한 과도한 신임, 낙관적인 태도로 나타남.

-타인에 대한 비판적, 적대적 태도를 '서툴게' 부인.

-Pa3(순진성)과 연관: 타인의 부정적인 특성에 대한 부인. 순수하게 타인의 동기에 관대한 순진성과는 달리 애정욕구는 인정에 대한 강한 욕구에 의한 듯함.

 

Hy3(권태-무기력)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저하, 그러나 외적으로는 괜찮아 보이고자 노력함.

-우울을 반영

-신체적 증상: D3(신체적 기능장애), Hs(건강염려)와 관련되나 보다 모호한 증상 호소.

 

Hy4(신체증상 호소)

-감정의 억압, 전환으로 인한 신체적 장애

-T≥65인 코드타입 1-3: 전환장애의 가능성

-Hs-Hy의 신체증상 비교

Hs Hy
내과적, 모호한, 일상적 증상 신경과적, 구체적, 극적인 증상
변비, 소화불량 혼절, 마비, 심혈관계 증상

 

Hy5(공격성의 억제)

-타인에게 동조: 타인이 자신에게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민감.

-폭력성을 부인하는 성향(범죄 및 폭력에 대한 기사, 욕설 등에 대한 기피).

-그러나 AGGR, ANG와 상관이 높지 않다고 한다.

-내적 일관성도 낮아 척도3의 상승을 설명하지 못한다.